코킹 요령과 타이밍 | |
사진B는 백스윙의 정점입니다. 사진A에서 만들어진 코킹을 유지하면서 왼쪽 어깨가 오른쪽 발 위치에 올 때까지 몸통을 틀어 준 거예요. 왼쪽 손목과 클럽 샤프트가 이루는 각도가 거의 90도를 이루고 있지요. 이때 주의할 건 너무 과도하게 코킹을 해 클럽 헤드가 몸통 왼쪽 아래쪽을 향해 늘어지지 말도록 하라는 것이에요. 그렇게 오버 스윙할 경우엔 뒤땅을 때리는 등의 엉뚱한 샷이 나오기 쉬울 거예요. 손목이 손등이나 손바닥 쪽으로 꺾여도 곤란해요. 클럽 헤드가 그리는 스윙 궤도가 비정상으로 이뤄지게 되지요. 그러니 반드시 엄지손가락을 곧추세운 형태로 코킹을 하도록 하세요. 사진C는 다운스윙 때의 코킹 상태예요. 여전히 손목을 꺾은 채 몸의 안쪽으로 클럽을 끌고 내려오고 있지요. 이렇게 임팩트 직전까지 코킹을 풀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채 다운 스윙하는 것이 오늘의 핵심이에요. 아이언도 우드도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이렇게 해야 두 손이 클럽의 헤드보다 먼저 앞서간 상황에서 임팩트가 이뤄지게 돼요. 프로들이 강조하는 '레이트 히트(late hit)'란 바로 이걸 말하는 것이지요. 그렇지 않고 코킹이 일찍 풀린다면 클럽 헤드가 손보다 먼저 앞쪽으로 나가면서 공을 퍼올리는 듯한 샷을 하기 쉽지요. 당연히 공이 날아가는 방향도 들쭉날쭉할 것이고요. 공을 세게 때리겠다는 마음이 그런 성급한 샷을 만들지요. 결론적으로 말해 클럽 헤드의 무게를 느끼면서 코킹을 끝까지 유지하고, 원심력을 이용한 강력한 임팩트가 결합되면 공은 절로 멀리 날아갈 거라는 거지요. 매번 샷할 때마다 그런 느낌을 잃지 않도록 신경쓰면서 연습해 보세요. 코킹에 대해 전문가들은 각각 다른 의견을 내놓기도 해요. 코킹에 너무 신경쓰다 보면 샷을 제대로 하기 어렵다든가, 클럽의 무게를 느끼다 보면 코킹은 자연스럽게 이뤄진다는 것 등이에요. 다 맞는 말이지요. 중요한 건 스윙 단계마다 적절히 코킹이 진행되도록 평소에 충분히 몸에 익히는 일입니다. |
[스크랩] 오류와 교정-테이크백 (0) | 2007.07.06 |
---|---|
[스크랩] 여성골퍼 거리를 늘리는 임펙트 방법... (0) | 2007.07.05 |
어프로치 (0) | 2007.07.05 |
[스크랩] 숏 아이언 (0) | 2007.07.05 |
[스크랩] 미들아이언샷 방법 (0) | 2007.07.03 |
댓글 영역